2020년 12월 14일 월요일

단번의 위로를 뛰어넘어

 난 왜 이렇게밖에 못할까? 

라는 의문이 들었을 때 상대방에게서 괜찮아 나도 그래 라는 말을 듣고 멈춘다면 그것은 하수이다. 

위로 하는 사람들 중에는 기만자도 있을 것이고, 그것이 아니라면 같이 위로를 하는 이들은 결국 그 나물의 그 밥으로서, 그저 그렇게 다같이 목표를 이루지 못 하고 시간만 낭비한 채로 살아가게 될 것이다. 

위로를 받고 안심하지 말자. 내가 왜 위로를 받는 처지에 처했는지를 추적하고, 그런 행위를 다시는 하지 말자.

세상 쓸데없는 말 :

"벌써 시간이 이렇게 흘렀다."


시간은 나와는 상관이 없이 흐른다.


내가 무슨 짓을 하든 시간은 정방향으로 그저 지나가고 있을 뿐이다. 그러니 거기에 내가 하등의 의미를 부여할 필요도, 안타까워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시간과의 달리기 경주에서 내가 지는 것 같은 느낌이 들면, 답은 한 가지이다. 시간보다 빨리 가기는 싫을테니, 시간이 나를 앞으로 밀 때 나는 한정된 그 시간동안 최대한의 resource를 투입하여 축적을 해가는 것이다. 축적의 힘으로 다음 번엔 시간의 흐름을 조금씩 내 편으로 만들 수 있게 된다. 

축적하는 대상은 돈이 될 수도, 지식이 될 수도, 인간관계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2020년 12월 2일 수요일

나는 다를 거라는 착각을 버리는 것

 "나는 다르다"

라고 쉽게 말 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처음에 어떤 결심을 할 때는 내 각오를 끝까지 지킬 수 있을 것 같고, 이러한 목표를 이루지 못한 사람은 게으르고 무능력했기 때문이라고 폄하하기는 쉽다. 하지만 분명 그 누구도 처음부터 실패를 생각하면서 일에 덤비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모두가 성공을 자신했지만 어떤 이유에서든지 필시 누군가는 원하던 결과를 얻지 못하거나 아무리 도전해도 안되는 현실에 망연자실 하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목표에 도전할 때는 현실의 엄중함을 무시하지 말아야 한다. 그 현실을 바탕으로, 나의 한계를 알아야 비로소 귀중한 전략을 세울 수 있게 된다. 그 전략은 나의 단점을 극소화하고, 어떻게 하면 안전하게 GOAL에 이를 것인지를 탐구하게 하는 시금석이 될 것이다.어떤 성(castle)도 한 순간에 지어지진 않는다. 아무렇게나 돌을 쌓으면 금새 무너져 가루가 되고 말 것이다. 설계도를 짜고, 그것을 바탕으로 자기 자신에 대한 bias없는 감독을 하는 것이 안정궤도를 굴리게 될 것이다.  

2020년 12월 1일 화요일

표독스러움에 대하여

 요즘 시험 준비한다고 잠을 거의 5~6시간씩만 자고 공부에 몰두하고 있다. 그런데 비단 시험이 아니라도 특정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새벽2시에 퇴근하고 6시에 바로 출근한다든지 아니면 어느 하나에 미쳐서 잠 몇 시간만 자고 무엇을 몇 달간 하여 어떤 것을 이루었다든지 하는 말을 들을 때마다, 사람이 어떻게 저럴 수가 있지 라는 생각이 들곤 한다. 
"체력"이란 것은 눈에 보이지가 않는 것이기 때문에 사실 누구에게 얼마나 주어져있는지를 알 수가 없다. 다들 체력 체력 말하는데 그것이 운동한다고 정말로 남들보다 더 오래 일할 수 있는 기반이 되는 것인지, 그를 통해 오기가 생기는 것인지는 알기가 힘들다. 
위와 같이 미치도록 사는 사람들은 어떻게 그게 가능한 것일까? 아무리 해도 내 몸을 컨트롤하지 못하는 것을 느낄 때는 저런 이들에 대한 존경심을 느끼곤 한다.